최근 질병관리청이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일부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번 유출에는 이름, 나이, 성별 등 기본 인적 사항뿐만 아니라 BMI, 기저질환 정보 등 민감한 건강 데이터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가 건강정책의 근거가 되는 핵심 조사로, 매년 수만 명의 국민이 참여한다. 그만큼 보관되는 데이터의 양과 중요성이 막대한데, 이번 유출은 국가기관의 보안 관리에 심각한 허점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질병관리청은 즉각 사실을 인정하고, 유출 규모와 경로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개인정보가 보험사나 민간 기업에 흘러 들어갈 경우, 차별적 보험료 책정이나 불법 마케팅으로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개인 건강정보는 다른 어떤 개인정보보다 민감하다”며 “단순히 이름과 주민번호만이 아니라, 질병 기록은 개인의 삶 전반을 드러내는 중요한 정보”라고 강조한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공 데이터 관리 체계를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한국은 의료 데이터 활용을 강조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하고 있는데, 보안 신뢰가 무너지면 산업 자체의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국민들 사이에서는 “내 건강기록이 어디까지 노출된 것인지 알 수 없어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른다. 정부는 유출된 피해자들에게 개별 통지하고,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대응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번 사건은 공공기관의 보안 부실이 단순 행정 사고가 아닌, 국민 신뢰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임을 보여준다. 앞으로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